목록JavaScript (50)
dolog
기본 수학 연산자 a 보다 작다, 크다 : a > b, a = b, a 4; alert(result); // true 문자열 비교 ‘사전’순으로 문자열 비교 …라고 하지만 정확히는 유니코드 순이다 사전편집(lexicographical)순 적용 : 사전 앞쪽의 문자열 ‘A’; // ture let b = ‘Glow’ > ‘Glee’; // true, ‘o’가 ‘e’보다 크다 let c = ‘Bee’ > ‘Be’; // true let d = “2” > “12” // true, 사전 순으로 첫번째 2가 더 크므로 알고리즘 1)두 문자열의 첫글자 비교 2)1번째 문자열의 첫글자 > (또는 1 ..
복합 할당 연산자 변수에 연산자를 적용하고 그 결과를 같은 변수에 저장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 산술 연산자와 비트 연산자에도 적용 가능 우선수위는 할당 연산자와 동일함으로 우측이 먼저 평가 let n = 2; n = n + 5; n = n * 2: // 14 또는 n += 5; n *= 2; 증가와 감소 연산자 증가(increment) 연산자 ++ : 변수를 1 증가 감소(decremet) 연산자 -- : 변수를 1 감소 변수에서만 사용가능 let counter = 2; counter++: // 3 let counter = 2; counter--; // 1 또한 counter++ : 후위형(postfix form) - 가존 값을 반환(before) ++counter : 전위형(prefix form) - 새..
단항 내가 알고 있는 단항은 하나의 항을 말한다 항이란 식을 의미한다 이항 내가 알고 있는 이항은 두개의 항을 말한다 피연산자 연산자가 연산을 하는 대상 피연산자(operand) : 연산자가 연산을 하는 대상 5 * 2에서 5와 2가 피연산자, 피연산자는 인수(argument)라는 용어로 불리기도 한다 피연산자를 하나만 받는 연산자는 단항(unary) 피연산자의 부호를 뒤집는 단항 - 연산자 피연산자를 두개 받는 연산자는 이항(binary) 이항 연산자에서 - 연산자는 뺄셈을 해준다 즉 두 연산을 구분하는 기준은 피연산자의 개수이다 자바스크립트에서 지원하는 수학 연산자 + : 덧셈 - : 뺄셈 * : 곱셈 / : 나눗셈 % : 나머지 ** : 거듭제곱 나머지 연산(remainder operator %) ..
형 변환(type conversion) alert에 전달한 값을 자동으로 문자열로 전환, 수학 연산자에 전달한 값을 숫자로 변환, 전달한 값을 의도를 갖고 원하는 타입으로 변환(명시적 변환) 원시형 형 변환 String으로 변환 alert(value) 에서 value는 문자형이어야 한다 만약 다른 형의 값을 받으면 문자형으로 자동 변환 String(value) 함수를 호출해 변환 할 수도 있다 let value = true; alert(typeof value); // boolean value = String(value); // 변수 value 에는 boolean 값 true가 아닌 문자열 ‘true’가 저장된다 alert(typeof value); // string 대부분은 예측가능한 방식으로 변환이 일..
변수(variable) 정보를 저장하는 용도 이름이 붙은 저장소 3가지 키워드 : var, let, const 선언( 변수키워드 변수명) let message; 할당( = ) let message = ‘hello’; alert(message); //변수명을 이용해 변수에 저장된 값을 보여준다 사물함 비유 message 라는 이름을 가진 사물함 안에 hello 라는 데이터를 저장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어떤 값을 넣든, 원하는 만큼 값을 변경 가능 let message; message = 'Hello!'; message = 'World!'; // 값이 변경되고 이전 데이터는 제거 변수 두 개를 선언하고, 한 변수의 데이터를 다른 변수에 복사 가능 let Hello = 'Hello world!'; let ..
특별한 종류의 값(JS) vs 특별한 동작을 하는 구조 1.함수 선언문 2.함수 표현식 function sayHi() { alert( ‘Hello’ ); } ⬇️ let sayHi = function ( ) { alert( ‘Hello’ ) }; 변화된 점 1)변수의 선언과 할당 형태로 바뀜 2)함수명이 변수명으로 바뀜 1)에 따르면 함수는 구조가 아닌 값으로 변수에게 할당될 수 있다 ➡️ 변수 sayHi에 function 할당 자바스크립트에서 함수는 함수명 옆에 반드시 괄호가 있어야만 함수를 호출한다 (그렇지 않으면 실행하지 않는다) 함수를 값으로 따지기 때문에 변수를 다른 변수에 할당하는 것처럼 함수도 다른 변수에 할당이 가능하다 function sayHi() { // (1) 함수 생성 alert( ..

브라우저 환경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user interface function) : alert, prompt, confirm alert -확인 버튼을 누를 때까지 메세지를 보여주는 창(modal window)이 계속 떠있는 기능 ( alert( ‘hello’ ); ) *modal 이란 단어엔 페이지 나머지 부분과 상호작용이 불가능하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고 한다 prompt #input -이 함수는 두 개의 인수를 받고 메세지와 input field, 확인/취소 버튼이 있는 모달 창을 띄워준다 ( prompt(title, [default]) ) // 인수를 감싸는 대괄호는 필수가 아닌 선택값이라는 의미이다 title : 사용자에게 보여줄 메세지 default : input field의 초..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주요 구성 요소(building block) 재사용 중복 코드 피하기 *alert, prompt, confirm - 내장되어 있는 함수 함수를 만들 수 있다 -3가지 종류 1.함수 선언문 function(함수키워드) 함수명(매개변수) { 함수 본문(기능부분) } function showMessage () { alert( `Hello` ) } showMessage(); //함수명으로 호출, 함수 본문이 실행 지역 변수(local variable) -함수 내 선언한 변수는 함수 안에서만 접근 가능하다 -함수 밖에서 부른다면 에러가 난다 function showMessage () { let message = `Hello`; alert( message ); } showM..